지역 속의 의료인문학

홈 / 센터활동 / 지역 속의 의료인문학

[대구] 대구약령시한의약박물관

  • [ 국내 ]

    imhhmti 2025-09-22 28

  • 약령시는 조선시대부터 열린 한약재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전통시장을 말한다. 역사적으로는 대전, 청주, 공주, 원주 등에도 약령시가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서울시 동대문구와 대구 중구 일대에 약령시가 남아 있다. 대구 중구 남성로에 성행하고 있는 약령시 옆 골목으로 들어가면, 350여 년 전통을 볼 수 있는 '대구약령시한의약박물관'이 있다. 전국 3대 한약재 전문시장으로 조선뿐 아니라 일본, 중국, 러시아 등까지 한약재를 공급해온 약령시의 역사를 및 다양한 한약재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전시, 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층에는 어린이들에게는 낯설 수도 있는 한의약의 개념을 이해하고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3층에는 약령시의 역사와 식물, 동물, 광물, 희귀약재를 살펴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1993년 '약령시전시관'으로 개관한 뒤, 2009년 '대구약령시 한의약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공립박물관 등록을 했다. 

    (자료수집일: 2024년 11월 29일)

     

     

     

     

     

     

     

     

     

     
    공유하기
[ 국내 ] 작성자imhhmti 작성일2025-09-22 조회28

약령시는 조선시대부터 열린 한약재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전통시장을 말한다. 역사적으로는 대전, 청주, 공주, 원주 등에도 약령시가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서울시 동대문구와 대구 중구 일대에 약령시가 남아 있다. 대구 중구 남성로에 성행하고 있는 약령시 옆 골목으로 들어가면, 350여 년 전통을 볼 수 있는 '대구약령시한의약박물관'이 있다. 전국 3대 한약재 전문시장으로 조선뿐 아니라 일본, 중국, 러시아 등까지 한약재를 공급해온 약령시의 역사를 및 다양한 한약재에 대해서 알 수 있는 전시, 교육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2층에는 어린이들에게는 낯설 수도 있는 한의약의 개념을 이해하고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이 있으며, 3층에는 약령시의 역사와 식물, 동물, 광물, 희귀약재를 살펴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1993년 '약령시전시관'으로 개관한 뒤, 2009년 '대구약령시 한의약박물관'이라는 이름으로 공립박물관 등록을 했다. 

(자료수집일: 2024년 11월 29일)

 

 

 

 

 

 

 

 

 

 
공유하기